20200623 1115
01
투입과 산출만 보고, 그 중간의 과정 process를 알아내는 것
y=f(x) 에서 x와 y만 보고 f를 찾아 내는 것
02 (개념) 단순한 가정
세상에 f는 10가지만 존재한다고 하자.
x1을 투입했을 때 y1을 산출하는 f는 9이다.
x1, x2를 투입했을 때 y1, y2를 산출하는 f는 8개이다.
이런식으로 충분한 데이터만 있다면 우리는 f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03 y=f(x)
너무나 추상적이어서 세상의 모든 문제가 이 유형에 속한다.
함수가 아닌 것이 없다.
04 미지의 결과의 예측
알려진 데이터로 부터 f를 찾아내고 f를 이용해서 알려지지 않은 x를 받았을 때 y를 추정하는 것이 AI의 임무이다.
개념적으로 보면 알려진 데이터로 부터 f를 찾는 것은 보간법 interpolation이고, 알려지지 않은 것을 추정하는 것은 보외법 extrapolation이다. 그런데 보외법은 잘 안 맞더라.
'[PA] 업무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UV Ui Vision 매뉴얼 (0) | 2020.06.27 |
---|---|
UV Ui Vision 시작해보기 Getting Started (0) | 2020.06.27 |
업무자동화로 돈 벌기 (0) | 2020.05.24 |
PY 자동화 automation (0) | 2020.05.24 |
엑셀 VBA 론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