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1 1701 

 

REF

[1] "www.youtube.com/watch?v=rEFpLRe2Tog"

[2] "www.youtube.com/watch?v=vICNQL1xcdU"

[3] "www.youtube.com/watch?v=soPPB1YIrYA"

[4] "www.autoview.co.kr/content/article.asp?num_code=68216"

 

01 아래 버튼은 계기판 밝기 조절하는 버튼이다 [1]

 

02 스마트키

- 잠금을 한번 누르면 문이 잠기고, 두 번 누르면 차 전조등이 꺼진다. [2]

- Hold를 걸게 누르면 시동이 걸린다. [3]

 

03 대쉬보드

네비 시작 버튼을 길게 누르면 네비가 꺼지고 화면보호기(보통 시계)가 켜진다.

rear heating 버튼을 누르면 사이드미러 열선이 작동한다.

front heating 버튼을 눌렀을 때 에어콘(A/C)가 켜지는 건 "제습" 기능이 작동하는 것이다.

 

(note) Auto Hold : 전자식 parking break가 있는 차의 경우, 풋브레이크를 밟은 뒤에 발을 떼면 작동, 가속기를 밟으면 풀린다.[3]

 

04 ESP기능 [4]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는 스티어링휠(핸들)의 각도를 분석해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차량의 진행 방향을 달라질 때(미끄러질 때) 개입, 차량의 진행 방향을 조정해 주는 기능이다. 차량이 바깥으로 밀리는 언더스티어, 안쪽으로 깊이 파고드는 오버스티어 현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각 바퀴의 브레이크를 독립적으로 제어해 안전한 주행 궤도를 그려주도록 한다.

 

ESP는 주행 안전을 위한 기술 중 하나다. 앞서 언급한 스포티한 주행, 또는 시험 조건 등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운행하는 것이 좋다. 임의로 ESP를 끈 경우라도 다음 시동이 걸릴 때는 자동으로 기능이 활성화 된다.

⇒ ESP는 on이 default이다!

Posted by Weneedu
,


출처: https://privatedevelopnote.tistory.com/81 [개인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