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3
하나 둘 많다..셋 이론이라 해야할까?
REF
[1] "https://www.scienceabc.com/humans/how-do-some-cultures-count-without-numbers.html#numberless-cultures"
[2]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4/aug/20/highereducation.research"
[3] "https://en.m.wikipedia.org/wiki/Pirah%C3%A3_language"
[4] "https://m.blog.daum.net/inessa9/1379480" 피다한 족
개요
무엇이든 둘이면 충분하고 셋이면 많다(넘친다).
- 같은 일이 세번 생기면 법칙으로 생각한다.
-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이 셋이면 여론이라 생각한다.
둘이면 충분한 사례
세상은 이분법으로 보는게 가장 간단하다. 그러한 것과 나머지(그러하지 않은 것).
음양..이 두 개로 세상의 모든 다양성이 이루어졌다.
이항모형이 반복되면 정규분포를 만든다.
자유와 평등. 보수와 진보*
* 자유를 중시하는 쪽을 보수, 평등을 중시하는 쪽을 보수라고 하는데 틀린 표현이다. 모든 인간은 더 나은 삶을 원한다. 보수 진보가 아니라 우파 좌파가 맞다.
(note)우리나라 보수는 꼰대 이미지라 보수가 자유를 지지한다는 말이 이상하지만.. 원래 보수는 자유를 중시하고 진보는 평등을 중시한다. 완전 자유시장과 정부개입시장..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인공지능 - 데이터 수집 직업 (0) | 2021.12.27 |
---|---|
분업 : 뇌 없는 손발, 골과 스트라이커 (0) | 2021.12.23 |
Less is More (0) | 2021.10.24 |
잔소리 vs 조언, 충고 (0) | 2021.09.20 |
나이와 정보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