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517 2214
01 실패가 의미가 있기 위해서는 feedback이 필요하다.
같은 실패를 두 번하지 않는 것
* feedback loop, 책 대량살상수학무기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다. 어떤 모델이 WMD(Weapon of Math(!) Destruction)이 되지 않으려면 feedback이 가능해야 한다.
02 진화는 생물이 지금까지 살아남게 한 훌륭한 제도 system이다. 그래서 우리는 진화를 우리 사회제도 등에도 적용하려고 한다. 그런데 진화는 우리 사회제도에 적용하기 어렵다. feedback loop가 없는 system이기 때문이다. 적자생존, 즉 지금까지 살아 남은 생물, 그래서 가장 잘 적응한 생물은 feedback을 통해서 살아 남은 것이 아니라 수 많은 변종 중에 우연히 살아남은 결과물이다.
03 우리 앞에 두 갈래 길이 있다. A, B
A 경로를 선택해서 간다. 그런데 A 경로는 실패의 길이다. feedback loop에서는 그 결과를 반영해서, 다시 갈림길로 돌아와서 B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데 진화는 그렇지 않다. A, B 두 경로로 각각의 무리가 선택해 간다. B경로로 간 무리는 죽고, A 경로를 선택한 무리는 생존한다. feedback으로 인해 성공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선택지를 모두 골라서 씨를 뿌리는 것이다.
04 경영에 적용해보자.
회사에서는 진화적 방법으로 앞으로 가야할 길을 선택할 수 있을까? 자원이 넉넉하다면 그렇다. 하지만 startup이라면 불가능할 것이다.
사업 다각화라는 것이 일종의 진화적 생존전략이다. 여러 곳에 걸쳐 놓으면 그 중 하나는 살아 남을 것이니까.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시간을 분으로 곱하는 이유 (0) | 2020.05.22 |
---|---|
숫자 0이 없어서 생기는 문제 (0) | 2020.05.18 |
세금 (0) | 2020.05.15 |
초등수학 잘못된 문제 (0) | 2020.05.05 |
함부로 말할 수 있는 조직 (0) | 202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