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11 2254
▶ (요약) 브라운 운동은 분자의 존재 증거가 아니다.
- "분자모형이 맞다면 브라운 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정도의 의미이다.
- "분자모형 → 브라운 운동"이지 "브라운 운동 → 분자모형"은 아니다.
(note) 모든 (물리) 이론들이 이러하다. 현상을 잘 설명하기때문에 수용하는 것이 그 이론이 이 현상을 설명하는 유일한 진리 인지는 알 수 없다[3].
(개요) 브라운 운동
"https://en.m.wikipedia.org/wiki/Brownian_motion"
(근거)
[1]브라운 운동은 아인슈타인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www.pitt.edu/~jdnorton/teaching/HPS_0410/index.html" ▶ Einstein for Everyone
"www.pitt.edu/~jdnorton/teaching/HPS_0410/chapters/atoms_quantum/index.html" ▶ Atoms and the Quantum
Einstein's doctoral dissertation, "A New Determination of Molecular Dimensions,~
[2] 논쟁 or 설명
"https://physics.stackexchange.com/questions/444800/how-does-brownian-motion-prove-the-existence-of-atoms" ▶How does Brownian motion prove the existence of atoms?
[3] How do we know atoms are real? (Brownian Motion)
"m.youtube.com/watch?v=wf2tBAvMNbg" ▶ a demonstration of BM in milk fat droplets
[4] 분자를 측정해보자
"https://www2.math.uconn.edu/~gordina/Measuring%20Avogadro%27s%20Number%20Using%20Brownian%20Motion.pdf" ▶ Measuring Avogadro's Number using Brownina Motion
'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면 앞뒤로 책자 출력 (0) | 2020.11.11 |
---|---|
DSGE, 동적이고 확률적이고 일반적인 균형 (0) | 2020.08.23 |
화성의 수로 The Canals on Mars (0) | 2020.08.02 |
취미, 적당히 어려운 문제 풀기 (0) | 2020.08.01 |
(특수) 상대성 이론의 이해 (1)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