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20 1035
Ref
[1] "blog.daum.net/bondpark/7892725" 미 장기국채금리 상승과 볼록성 매도
[2] "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3076" 미 국채시장 패닉, 볼록성 매수가 가중시켰다.
[3] "m.kr.investing.com/news/economy/article-586365"美 국채 수익률 상승, 모기지 관련 매도세 촉발 가능성..수익률 더 오를까
Motivation
01 블룸버그에서 최근 금리 급등(정확히는 10 year Treasury Bond Yield around Feb, 2021. see data here )에 대한 뉴스 도중 convexity~, convexity~하는 말이 들린다. 1
02 반복적으로 이런 글을 본다
2009 ⇒ [1],
2019 ⇒ [2],
2021 ⇒ [3]
Interpretation as option postion
옵션언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볼록성 매수 or 매도 ⇒ Gamma Trading
모기지본드를 가지고 이야기하는데, Callable Bond를 생각해도 같다.
모기지본드 투자자(=매수자)는 콜옵션 매도 포지션이다(=s/he bought a callable bond). 따라서 short gamma position
⇒ 기초자산 가격이 오르면 사고, 내리면 파는 일(=손실거래, buy high sell low)을 해야한다.
-- 금리가 오르면(=채권 가격이 내리면), 채권을 팔아야하고..
-- 금리가 내리면(=채권 가격이 오르면), 채권을 사야한다.
(note)그런데 옵션을 판 사람의 반대쪽에는 옵션을 산 사람이 있으니 그 사람은 long gamma play를 해야할 거고, 둘의 gamma trading의 시점과 거래량, 가격이 같다면 둘은 정확히 상쇄된다!
Conclusion
세상의 모든 일이 그러하듯이,
최근 금리상승에 "볼록성 매도"가 영향을 주었을 개연성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그냥 3 갖다 붙인 말일 가능성이 크다. 4
① 모기지본드 투자자들이 short gamma play를 얼마나 하는지 그래서 그 거래가 국채가격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② short gamma play 반대편에는 long gamma play가 있으니 둘은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5
- www.investing.com/rates-bonds/u.s.-10-year-bond-yield-historical-data [본문으로]
- 가격이 내려갈 때 파니까 가격이 더 내려가고, 반대로 가격이 올라갈 때 사야하니까 가격이 더 올라 간다! [본문으로]
- 다시 말하지만 옵션의 언어로 번역하면 short gamma play [본문으로]
- 멋있게 보이려고, 현학적으로 보이려고, 잘난체 하려고 [본문으로]
- 그런데 모기지 본드 발행자는 결국 모기지 대출을 받은 개인일텐데 그 들이 long gamma play를 할 것 같지는 않다! [본문으로]
'[TS] Treasu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CHIPS Fed Wire, Settlement (0) | 2021.03.06 |
---|---|
TS OAS Option Adjusted Spread (0) | 2021.02.24 |
TS Does NYSE Have lunch break? (0) | 2021.02.18 |
TS weird Futures code or ticker (0) | 2021.01.09 |
TS OCI 기타포괄손익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