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29 1424
REF
[1] "https://www.newyorkfed.org/markets/rrp_faq.html"
[2] "https://www.newyorkfed.org/markets/data-hub"
[3] "https://www.investopedia.com/ask/answers/041615/what-difference-between-repurchase-agreement-and-reverse-repurchase-agreement.asp"
[4]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2029"
동기
FED NY, Market Data Dashboard [2]를 보면...
![](https://blog.kakaocdn.net/dn/0UH78/btrASwbnvxz/SwHRJDgHOkgkFjHlxW62p0/img.png)
이 숫자들은 무슨 의미일까?
1.9조 입찰(submitted)에 1.9조 낙찰(Accepted)..
Rate(%)에 Offering은..제안가격이고, Award는 체결가격인가?
공식적인 설명은 NY FED에 보면 있는데..[1]
When the Desk conducts RRP open market operations, it sells securities held in the System Open Market Account (SOMA) to eligible RRP counterparties, with an agreement to buy the assets back on the RRP’s specified maturity date. This leaves the SOMA portfolio the same size, as securities sold temporarily under repurchase agreements continue to be shown as assets held by the SOMA in accordance with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but the transaction shifts some of the liabilities on the Federal Reserve’s balance sheet from deposits held by depository institutions (also known as bank reserves) to reverse repos while the transaction is outstanding. These RRP operations may be for overnight maturity or for a specified term. |
연준이 채권을 파니까, 시중 자금을 흡수하는(자금을 빌리는) operation이다.
그런데 [3]에 보면 돈을 빌리는 것은 repo이다. 빌려주는게 reverse repo이고..
Repurchase agreements, or repos, are a form of short-term borrowing used in the money markets, which involve the purchase of securities with the agreement to sell them back at a specific date, usually for a higher price. |
[4]에보면 역리포는 연준이 시중자금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되어있네..
역레포 금리는 사실상 연준 기준금리(FFR)의 하단 역할을 한다. 유동성이 풍부해 시장 참가자들이 자금을 빌려주고만 싶다면 FFR은 연준의 목표치보다 낮아지는데, 이때 연준이 역레포를 통해 유동성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FFR이 역레포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방지된다. 참고로 초과지급준비금리(IOER)는 FFR의 상단 역할을 한다. IOER이 FFR보다 높다면 참가자들은 초과지급준비금을 늘리려 할 것이고, 다른 참가자들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수요도 늘어난다. 이런 경우 FFR은 상승하게 되는데, IOER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why?) 즉, 역레포는 IOER 수준의 수익률을 내지 못하는 투자자의 잉여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고안된 셈이다. |
???
역리포나 초과지준이나 시중자금을 흡수해서 금리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어찌 하나는 금리하락을 막고 나머지는 금리상승을 막는다는 말인가?
결론
따라서..연준이 발표하는 Revers Repo는 시중자금의 흡수를 의미한다.
RRP가 많으면 시중에 자금이 많다..➡️유동성 여유 지표
RP가 많으면 시중에 자금이 부족하다.➡️유동성 부족 지표
✨️⭐️여하튼 RRP 거래액은 유동성 지표이다...2022년 현재 1조 달러 정도(위 그림에서는 1.9조달러)🔥⚡️⛱️
'[TS] Treasu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10Y Treasury Futures moved up 8 32nd (0) | 2022.08.04 |
---|---|
이자율 스왑, 인터넷에서 조회하기 (0) | 2022.05.06 |
FOMC (0) | 2022.04.29 |
볼커룰 타이틀7 도드프랭크 (0) | 2022.02.26 |
TS 시장을 움직이는 두 가지 요인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