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6 22
 
REF
[1]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partner=rss&ISBN=8998766310 , 경제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
 [2] 그들이 말해주지 않는 23가지

Self REF
[a] https://weneedu.tistory.com/565 , 좌파 탈출하기
[b] https://weneedu.tistory.com/816, 40만원 60만원 론
 
개요
불필요한 것**을 사게 만드는 경제 =▶ 이게 맞는 건가 싶은 의문이 드네

** 소비자는 자신이 무엇이 필요한지도 모른다 [1] 

 

예시
1, 40만원 60만원 사례 [a]
2, 코스트코에 아무 생각없이 들어가봐라. 나올 때 얼마나 쓰는지

3, 아이돌 그룹을 계속 생산해서 소비하게 만드는 게 우리의 삶을 개선(후생의 증가)하고 있다고 할 수있나


교환
교환이 있었다는 것은 양당사자의 효용이 교환 전보다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1], [a]

우리가 어떤 행동을 했다는 것은..[1]
1, 선택을 했다는 뜻. 최소한 그 행동을 하지 않을 옵션이 있었기 때문에..
2, 선택은 반드시 (둘 중 좋은 것을 선택하므로) 효용이 증가한다.
 
경쟁
경쟁으로 인해 현재의 긴 공급사슬 long supply chain이 만들어졌다.
계획자가 있었던게 아니라.
 
기업가, 자본가
내기를 거는 사람
=> 지금 돈을 내지만 돌려 받는 것은 나중이고(시간), 정해져 있지도 않다(위험).

기업가들이 많이 덤벼들게 된 획기적 제도, 유한회사 [2]
유한책임 => 사업은 위험은 있지만 위험에는 한도가 있다. 따라서 목숨을 거는 것같은 위험은 아니다.
 
사례 [1] - 빵
계획에 의해서 빵이 생산되는 것은 아니다.
계획을 하려면, 밀가루 생산을 계획해야하고, 배송을 계획해야하고, 오븐을 만들기 위한 철광석 생산을 계획해야하고..
이런 계획이 없어도 빵은 생산된다. 대단하다!!!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에 대한 찬반  (0) 2023.07.21
불편한 진실  (0) 2023.07.03
단상, 원자와 분자  (0) 2023.06.20
단상, 무식과 신념  (0) 2023.06.19
단상, 최후 통첩 게임  (0) 2023.06.19
Posted by Weneedu
,


출처: https://privatedevelopnote.tistory.com/81 [개인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