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04 2210

개요
Constant Maturity !!!
고정만기 국채(수익률) 연동 스왑
고정만기 스왑 금리 연동 스왑

어원
일반적인 스왑은 만기시점이 정해져있으므로 계약이후 시간이 지나면 만기가 줄어든다(변동만기). 그런데 CMS는 매 fixing 시점마다 금리를 고정된 만기의 금리를 사용하므로 만기가 줄어들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정만기).

설명
일반적인 이자율 스왑이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데 비해 CMT swap은 '고정만기의 채권 수익률'과 변동금리를 교환한다.

CMS스왑은 CMT스왑과 비슷한데 고정만기 스왑금리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원화이자율 스왑이라면 3개월 만기 CD금리

고정만기의 채권 수익률도 변동금리이므로 결국 CMT swap은 변동 대 변동 스왑으로 볼 수 있다. 보통 변동 대 변동 금리스왑을 베이시스 스왑이라고 하는데, CMT swap도 베이시스스왑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차이점은 보통의 베이시스 스왑은 단기 & 단리상품의 금리를 교환하는데 비해 CMT스왑은 장기 & 복리상품(? 채권)의 금리를 단기 & 단리상품의 금리와 교환하는 점이 다르다.

(차이)가격계산 측면에서 베이시스 스왑은 할인계수만 있으면 평가를 할 수 있지만 CMT swap은 볼록성 조정(Convexity adjustment)가 추가로 필요**하다.
볼록성 조정에는 해당상품의 변동성이 필요한데, 국채 수익률의 변동성이 가격계산에 필요하게되므로 CMT스왑은 일종의 옵션 성격이 포함된 스왑이다.

**(문제)볼록성 조정이 왜 필요할까?
(힌트1) 선형상품을 비선형상품으로 헤지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예를 들어 선물을 옵션으로 헤지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힌트2)채권의 수익률과 가격은 역의 관계이고 비선헝관계이다. 역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듀레이션이고, 비선형관계를 보여주는 것이 컨벡시티이다.

거래목적
장단기 금리 차이에 대한 투자상품
조달금리 절감 수단

'금리, 옵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옵션이 붙은 채권  (0) 2020.06.04
콜러블 본드 Callable Bond  (0) 2020.06.04
어리어 스왑 Arrear Swap  (0) 2020.06.04
콴토 Quanto  (0) 2020.06.04
볼록성 조정 Convexity Adjustment  (0) 2020.06.04
Posted by Weneedu
,


출처: https://privatedevelopnote.tistory.com/81 [개인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