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25 2110 

 

개요

OCI는 시가평가와 관련된 것이고 유효이자율법은 장부가평가와 관련된 것이다.

▶ OCI:시가평가=유효이자율법:장부가평가

 

채권투자방법

채권투자의 두 가지 방법(among others)은 만기보유와 단기매매(AKA 트레이딩)이다. 이 둘의 회계처리 방법은 clear하다.

① 만기보유 ⇒ 시가평가하지 않는다. 중간에 팔게 아니라면 시가는 무의미하다.

② 트레이딩 ⇒ 중간에 팔아야 하므로 시가가 중요하다.

 

이 양쪽에서 왔다갔다 할 수 있는 박쥐같은 방법이 있으니 중도매각(Available For Sale, AFS)이 있다.

그렇다면 이 박쥐는 어떻게 회계처리될까? 박쥐같이 처리된다.

▶ 시가평가는 하지만, 시가평가손익은 손익[각주:1]으로 처리하지 않고 바로 자본계정으로 떨어진다.

⇒ 복잡하게 둘러가긴 하지만 어쨌던 시가평가를 하긴한다! 즉 Balance Sheet 상으로는 시가평가한다. 그 시가평가 변동분이 당기손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자본계정으로 가는 점만 다르다[각주:2].

 

질문

트레이딩으로 매입한 채권의 경과이자는 어떻게 인식되는가?

(추정)유효이자율법으로 인식할 것 같다.

트레이딩으로 매입한 채권의 거래손익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추정) 장부가 대비 차이를 손익으로 인식할 것 같다.
매입시점부터 매도시점까지 합쳐서보면 이말이 맞을 것이고, 매기말 기준으로는 시가변동분이 평가손익으로 기표될 것이다.

ℹ정리하면 이자는 장부가기준으로, 평가는 시가로..

 

결론

OCI, 어려운 것 없다. 시가평가하는 상품의 평가변동분을 손익계정을 거치지 않고 자본계정으로 보내는 방법이다.

  1. 정확히는 당기손익 [본문으로]
  2. 일반적인 경우라면 예를 들어 트레이딩목적의 채권이라면 시가평가 변동분은 당기손익으로 갔다가 결산을 통해 자본(retained earning)으로 갈 것이다. [본문으로]

'[TS] Treasu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 two 이익젬션,익젬션, Exemption  (0) 2021.04.27
TS pricing alternatives  (0) 2021.04.26
TS 유효이자율법  (0) 2021.04.26
TS No arbitrage, Linear pricing, Existence of solution  (0) 2021.04.25
TS credit vs market risk  (0) 2021.04.24
Posted by Weneedu
,


출처: https://privatedevelopnote.tistory.com/81 [개인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