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04 2159 

 

구조화 스왑 = 구조화 + 스왑

구조화 = 표준(정형)적이지 않을 것을 의미

    > 채권/금리시장에서는 옵션의 첨가(또는 현금흐름의 조작)를 의미   

스왑 = 정기적으로 현금흐름(또는 수익률, return)을 교환하는 거래

    > fixed/floating leg structured/funding leg

 

구조화 스왑은 트레이딩목적의 상품이 아니다

순수하게 구조화 스왑만 거래되는 경우는 드물다.

트레이딩 목적 상품; IRS, FRA, Cap/Floor

채권/대출과 결합하여 구조화 채권/대출 형태로 거래

기존 채권/대출의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스왑형태 거래도 가능

본질적(risk profile)으로 구조화 스왑과 채권은 동일

따라서 구조화 스왑은만기보유목적의 거래

 

구조화 스왑(채권) 증가 요인

 

저금리시대의 도래

높은 금리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위험감수 필요

금융의 철칙; No Risk, No Return

Leverage 활용

Yield Curve 에 대한 이해 향상

이론적인 implied forward rate과 예상금리 차이

Yield curve shape에 대한 예측

시장의 효율성 증대

Option등 파생상품거래 활성화 및 유동성 증가

헤지수단 제공

 

(방법1) 조기종결 조건 부여

Callable(Cancelable) swap

European/Bermudan

(방법2) 이표의 변형

기준 금리(reference, index) 변경

하나의 지수(CD)

두 개의 지수(spread :credit/term, dual)

 Fixing회수

한번 fixing하는 경우

여러 번 fixing하는 경우: Range Accrual, Average Type

 

 

사례

 

 

 

 

 

 

'금리, 옵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화 스왑과 구조화 채권  (0) 2020.06.04
구조화 채권의 이해 Callable Bond  (0) 2020.06.04
웨지거래 – correlation 거래  (0) 2020.05.24
Bermudan Swaption 헤지  (0) 2020.05.24
금리옵션 거래전략  (0) 2020.05.24
Posted by Weneedu
,


출처: https://privatedevelopnote.tistory.com/81 [개인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