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04 2213
△ 가격을 정확히 계산하고 민감도를 구해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어떤 위험이 있는지 따져보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쉽지는 않다.
‘최악의 시나리오’ 만이라도 분석하자.
여러 곳에 물어보자.
구조화 채권 거래시 추가적인 문제 : 낮은 유동성 → 거래의 취소나 매매가 거의 불가능하다.
구조는 “Simple is better than Beautiful”
투자자와 발행자가 상호이익(win-win)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햔다. 동일한 목표를 놓고 이야기하면 win-win이 발생할 수 없다. 하나가 그 목표를 달성하면 나머지는 당연히 목표를 놓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것을 보면 윈윈할 수 있다. 투자자는 “spot”이 중요한데 발행자 또는 헤지하는 사람은 ‘forward’가 중요한 경우이다. 이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가 power spread와 CMS spread이다.
두 사람의 투자전략이 다르면 또 윈윈할 수 있다. 투자자는 옵션을 buy and hold하는 반면 옵션 딜러는 dynamic hedge를 한다. 보통 생각하는 것처럼 옵션을 산 사람이 이익
'금리, 옵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생상품에 대한 오해, 회계 & 만병통치약 (0) | 2022.02.02 |
---|---|
옵션 가격 생각해보기 (0) | 2020.06.11 |
디지털 옵션이 붙은 채권 (0) | 2020.06.04 |
콜러블 본드 Callable Bond (0) | 2020.06.04 |
CMT CMS swap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