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민감도 관련 용어
맥컬리 듀레이션
현재가치 가중평균 만기
면역전략
YTM에 의한 손익변화가 재투자 수익(률)에 의한 손익변화가 상쇄되는 지점(시점)
수정 듀레이션 = 민감도
(문제)수정 듀레이션과 맥컬리 듀레이션의 차이가 커지는 경우는?
(note)할인채권의 경우 두 값이 일치한다.
BPV= how much money your position will gain or lose for 0.01% parallel movement in the yield curve
PVBP= (also known as DV01)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 in the price of a bond for a 1basis point change in yield
위험요인 ⇒ 민감도
위험요인을 3개로 볼 수 있다.
□ 수준(Level)
□ 기울기(Slope)
□ 곡률(Curvature)
'금리, 옵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율)곡선에 투자하는 방법 (0) | 2020.04.12 |
---|---|
(이자율) 곡선의 분해, 구성요소 (0) | 2020.04.12 |
이자율 스왑의 평가 (0) | 2020.04.12 |
이자율스왑 (0) | 2020.04.12 |
선도금리계약, FRA (0) | 2020.04.12 |